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깡통교회 이야기

기독교 관련책 읽기

by 거룩한나그네 2011. 3. 3. 16:59

본문

2003년 5월 23일 도서관에서


목차

1부 안디옥교회와 나의 목회

무자격 목회자/ 선교낙수 / 선교 바자회와 찐빵/ 선교사가 가정부를 둘씩이나 / 선교와 목사와 교회/ 

2부 한국 교회 부흥 절대로 중단될 수 없다.

농어촌 교회 지원은 한강에 돌 던지기인가 

한국 교회 부흥, 절대로 중단될 수 없다/ 지금 특수선교회에서는 / 교회가 이상해졌다 / 육군 대위에게서 배운 지도로

3부 개미들이 쌓는 탑

선교사 바울의 선교 전략 / 생명 음악을 춤추는 아프리카의 매력 / 브라질을 주시하라 / 동구권 선교 어떻게 할 것인가 / 미전도 종족 선교를 위한 중보기도/ 돈으로 살수 없는 것을 돈으로 보낼 수는 있다.


어록들

1. 목사이름을 주보 전면에 기재하지 않는다. 교회의 주인인 예수님 이름을 넣는 것이 당연하지만 왠지 어울리지 않는 것 같고, 그렇다고 목사 이름을 전면에 기록하는 것이 당시 나로서는 결코 용납되지 않았다. 


29 장애자를 위한 시설을 나빠야 하는가 ?

세상과 부모에게까지 버림받은 이들을 최상의 환경으로 대접하고 싶다. 


33 재정의 60퍼센트를 선교비로 내 놓음

우리 교인들은 재정의 60퍼센트를 선교비로 쓴다고 자랑을 제법 하는가 보다. 한 성도가 친구에게 자랑을 했다.다른 사람들은 놀라고 칭찬했는데, 이 친구는 놀라지를 않았단다. 한참 있다가 사람의 60퍼센트를 내놓느냐고 묻더란다. 이 말을 전해 들은 나는 충격을 받았다. 돈 몇푼 가지고 자랑스러워 했던 나 자신이 심히도 부끄러웠다.

.... 선교비도 절대 필요한 부분이다. 그보다는 사람 자체가 더 필요하다. 이 일에 더욱 힘써야 할 것을 깨달았다.


53 교회설립 이념과 목적을 선교로

7개의 실천강령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성도가 된다

본 교우는 모두 예수의 제자가 되고 선교원이 된다

주는 교회가 되어 해외선교와 농촌선교 및 특수선교에 주력한다

교회재정의 60퍼센트 이상을 선교사역에 사용한다

교회 내 모든 기관은 선교체제로 조직 운영하며 자립을 원칙으로 한다

모든 봉사직은 자발적이며 희생,봉사를 원칙으로 한다

교회의 모든 사업과 집회에는 책임감을 가지고 참예하며 협력한다.


55 교회내 각 기관을 보조하지 않는다.

어린이 교회학교, 중고등부, 대학부 찬양대 등 교회내 모든 기관은 전혀 교회의 재정 지원을 받지 않고 자체 운영하도록 한다.


57 교회를 선교 체재로 운영한다

안디옥 교회는 열두 개의 선교위원회가 있다. 

각 기관의 명칭도 각국 이름으로 정하여 선교회로 한다.

(남전도회 --> 중국 선교회)

교회 밖 선교는 세가지로 나눈다.

해외성교, 농촌선교, 특수선교


84 한국 교회 성장 정체의 원인

목사가 풍부한 생활을 보장받게 되니까 옛날처럼 기도하지 않고 2차적인 것에 신경을 많이 쓰기 때문이다. 학위도 갖춰야 하고, 큰 교회 목사로서 지역의 장 자리 명함 정도는 가져야 하고, 여가도 즐겨야 하기에 고생의 대가를 누리는 데서 교회의 힘은 빠진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