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스 모힌니 . 목사님 설교가 아주 신선해졌어요 . 베다니 출판사. 오태용, 김광점 역 1996년 서울
형식은 마치 모리와 함께 한 화요일과 동일하다.
그리고 중심 내용은 설교에 대해서 나눈 대화이다. 그러나 설교를 포함하는 목회전반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앞부분에서는 설교에 대한 강의가 중심이 되지만 뒷부분으로 갈수록 소설적인 형식이 풍성해 지면서 내용도 감동적이다. 특히 마지막 부분에 있는 추모 설교에서 감동이 절정에 이른다. 10년이 넘는 목회를 통해 지쳐 있는 목회자를 깨우고 , 새롭게 하는 좋은 책이다.
나에게 남긴 흔적 몇가지
1. 목회자 = 말씀을 통해 사람들을 돕는 것을 통해 하나님나라를 세워가야 할 사람들은 말씀과 기도에 전념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 말씀과 기도를 통해 위로부터 부어지는 능력으로 살 때 진정한 목회사역이 가능하다
2. 말씀과 기도에 전념하는 삶을 살기 위한 실제적인 제안과 일주일의 삶의 스케줄을 온전히 짜는 것이 도움이 되었다. 이 스케줄을 나에게 도입하고, 계속 시험해 보아야 겠다. 그래서 내 나름대로의 스케줄을 가지고 살아야 한다.
3. 설교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실제적인 방법들을 많이 보여준다.
내용정리
제1부 설교가 최우선이다. 여기에 헌신하라
39) 목회경력이 오랠수록 설교를 신선하고 생명력 있게 하기 위해선 더 많은 훈련과 노력을 해야 한다.
사도행전 6장 2-4절 <우리는 기도하는 것과 말씀 전하는 것을 전무하리라>
이 사역은 언제나 어두움의 권세 잡은 자와의 싸움이야.
자네의 모든 노력은 그 두 가지 방면의 사역에 집중해야 하네,
( 간사는 설교자인가 ? 간사는 목회자인가 ? 이런 면에서 간사에 대한 정의와 그 업무를 분명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 땅에서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
42) 설교를 바라보는 두개의 상이한 관점
하나는 저수지에서 모든 물줄기가 흘러 나가는 그림
다른 하나는 저수지로 모든 물줄기가 모아지는 그림
--> 전자는 설교라고 하는 자네의 과업으로부터 모든 것이 빠져나가는 것일세, 그건 자네를 메마르게 하지, 반면 후자는 모든 것이 자네의 설교를 향해 모아져서 설교라고 하는 일을 완성하기 위해 끊임없이 각종 자료와 에너지로 저수지를 채우고 있어
4장 일찍 시작하는 것의 중요성(준비를 일찍 시작하는 것이 주는 유익들.)
56) 본문 주해 작업을 일찍 시작하면 늦게 시작해서 본문 속에 내 생각을 집어 넣는 실수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61) 설교를 위한 생활의 패턴
월요일 : 하루종일 반성과 설교 준비의 날 = 주일 설교와 예배를 돌이켜 보고 나의 영적 배터리를 재충전하는 날
< 내가 전하는 메시지를 3주일 전에 미리 연구할 수 있는 스케줄로 정착이 됨 >
첫째 월요일 = 본문 주해
둘째 월요일 = 여러 가지 주석서들, 평행 구절들, 기타 관련된 자료들을 연구함
--> 둘째 주간의 주말쯤에 예비적인 설교의 개요가 완성됨
셋째 월요일 =그 개용에다 설교 예화와 효과적인 서론과 결론을 붙여 구체화.
--> 주 중에 차를 타고 다닐 때 소리내어서 설교해 봄. / 토요일에 완성
월요일의 스케줄 / 매주 4편의 설교를 준비함
① 전날 설교한 것을 재 검토함 ; 설교시에 주신 영감등을 적어둠,
② 3주일 후에 설교할 메시지의 본문을 주해함
③ 두 주일 후에 설교할 본문을 위해 주석서를 연구하고 여러 평행 구절들을 살펴보는 일; 예배 설교 개요 작성
④ 기도의 시간 --> 점심후에 오는 주일 메시지를 준비함 :
5장 시간을 아껴라. <시간관리를 잘해야 한다.>
72) 성령을 의지하는 믿음 안에서 설교하는 것과 성령을 걸구 도박을 하는 설교에는 아주 큰 차이가 있다.
설교의 중요성
113) 천박한 엉터리 설교는 기독교에 심각한 해악을 끼쳤네. 이것이 성숙하지 못한 많은 신자들이 항상 상담을 받으려고 안달하게 된 한 가지 이유이지. 신자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깨닫고 매주 강력하고 영감있는 설교를 통해서 힘을 공급받는다면, 상황이 아무리 복잡하더라도 결코 그 속에 빠져서 허우적거리지는 않을 것이네.
제2부 실제적인 설교준비
1장 목표를 분명히하라
7. 산탄총이 아니라 라이플을 사용하라.<설교의 목표>
설교에는 명확한 목표, 즉 표적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네, 라이플처럼 신중하게 표적을 조준해서 맞추어야 하는 것이지.
‘ 설교는 소리만 요란한 중국의 폭죽과 같아서는 안 된다. 사냥꾼의 총처럼 발사할 때마다 목표물이 쓰러지는 것을 보아야 한다.’
잘못된 설교의 예)
단어연결 설교 : 본문에서 핵심어를 떼어내서 본문 자체의 목적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이 사용한 것을 말한다.
위험한 설교이다.
① 본문에서 아주 멀리 벗어나는 것은 설교자로 하여금 신학적인 잘못을 범하기 쉽게 만든다는 것일세.
② 그런 식으로 설교하는 것은 교인들로 하여금 같은 방식
96) 목적을 기술한 문장은 명확하게 써야 하고, 그것은 성령께서 그 본문 기록자를 감동하실 때 마음에 품으신 목적과 반드시 일치해야 하는 것이다.(성령의 마음을 읽는다.)
97) 설교의 목적 진술 문장은 설교앞에 세워 놓은 표적이다. 목적이란 설교자의 도달 목적지이며, 설교의 개요는 그 목적지에 도달하게 해주는 수단이라 할 수 있다.
그 목적 문장을 경구로 만들어라.
예) 예수님 / 사복음서에서 133개의 서로 다른 경구를 사용하심
경구 ; 교훈이나 진리를 담고 있는 간결하고 예리한 문장. 속담, 격언
◎ 사람이 온 천하를 얻고도 자기 목숨을 잃으면 자기에게 무엇이 유익하리요
◎ 구하라 그러면 너희에게 주실것이요, 찾으라 그러면 찾을 것이요. 문을 두드리 라 그러면 너희에게 열릴 것이니
예수님께서는 특정한 진리를 강조하고, 그것을 기억하기 쉽게 하시려고 경구를
사용하셨다.
102) 눈에 읽히는 설교가 아니라, 귀에 들리는 설교가 되도록 해야 한다. 이것을 위해서 큰소리로 읽어보고, 소리내어서 연습해 보아야 한다.
9장 요나가 코고는 소리
아이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묘사하는 방식.
108 아이들은 표현이 아주 풍부해, 자기가 하는 말에 열정과 흥분을 가지고 있단 말야. 제한된 단어를 가지고도 그토록 생생하게 표현을 하잖아. 자기가 하려는 말에 자신의 전부를 던져 넣는 것 같다.
우리는 자라면서 어디에선가 그런 것을 모두 잃어버렸나 봐요.우리 말은 애들 말에 비교하면 지루하고 생명력이 없잖아요.
122) 어떤 설교는 너무 많은 진리로 폭격을 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질려 버리지.듣기는 많이 듣지만 기억하는 것은 아주 적다네. 이보다는 하나의 중요한 진리를 그들에게 강조해서 그 진리를 가지고 능력있게 집으로 돌아가고 잊을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더 낫지 않은가 ?
2장 개요
123. 설교가 단순하고 복잡하지 않게 되도록 개요를 잘 만들어야만 하네. 설교를 할 때 개요는 항상 머릿속에서 생각이 나도록 되어야 한다는 말일세. 설교자인 자네가 원고에 덜 의존 할수록 청중들은 자네 말을 더 많이 기억하게 되거든.
124 개요는 자네가 말하고자 하는 것을 전달하는 수단이 되는 것이지.
수단) ◎ 쌍방대비. : 125) 양쪽을 왔다 갔다 하면서, 한 쪽을 설명하고 다른 쪽과 비교해서 설명하는 것.
3장 좋은 설교를 위한 몇가지 조언들
1)다른 설교가들을 연구하라
135 이제는 설교의 대가들을 연구할 필요가 있거든. 강단의 독수들과 함께 날아오르는 법을 익히도록 하게. 기도시간에 그 책들을 읽도록 하게.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칼빈, 루터, 라티머, 에드워즈와 같은 대가들이 효과적으로 설교를 하기 위해서 사용한 방법들을 살펴보는 것이 좋을 것이야.
2)140 놀람의 능력
놀람의 능력이란 주의깊게 성경을 읽을 때 갑자기 눈에 들어와서 놀라게 하는 성경부분을 가리키는 말이라네. 우리는 종종 분문의 완전한 영향이 우리를 사로잡게 허용하지 않는 잘못을 범하지. 이는 우리가 듣는데 둔하거나 듣기는 자주 들어도 그 말씀이 우리 마음속으로 들어오는 것을 싫어하기 때문이야.
--> 본문을 통해 내가 놀라야 한다. 설교를 통해 일반적인 믿음 혹은 본문에 대한 평면적인 생각을 깨고, 입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 146 질문의 능력 마태복음 5장46-47절
질문의 칼날이 심장을 얼마나 더 깊이 찌르는지를 느껴보게. 한 질문이 더해질 때마다 칼날이 점점 깊이 들어가는 것을 느낄 수 있는가 ?
◎ 예수님의 질문을 연구해보라 : 질문의 효과가 무엇이며, 그것을 단정적인 문장으로 말했다면 얼마나 초점이 약해질 것인가 ?
4장 저수지를 채우는 방법
1) 지속적인 연구
2) 기도- 1달에 하루를 정하여 온종일 기도하는 데 드려 본적이 있는가 ? 방해 받지 않으면서 오랫동안 기도하는 것 이상으로 하나님의 능력과 임재를 충분히 느끼도록 해주는 것은 없네 .. 할 수 있다면 큰소리로 기도하게..
3) 185) 당장 사역에 필요한 것을 넘어서는 개인 성경공부를 통해서일세.
캠벨 몰간; 토요일마다 주일설교와는 직접 관련되지 않은 성경 한 권 전체를 읽곤 했다네.
5장 설교의 세가지 R
195 상기시키는 것
반복하는 것
반복; 같은 생각을 다른 말로 표현해서 반복하는 것
6장 예화
1) 6중 독서
2) 삶의 모든 것을 예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