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의문을 벗고 신비속으로 1장 신념 너머의 삶

기독교 관련책 읽기

by 거룩한나그네 2007. 6. 28. 07:23

본문


믿는 것과 따르는 것, 어느 쪽이 나은가?
기독교 신앙은 하나님과 하나님, 하나님과 인간, 인간과 인간, 인간과 피조세계, 하나님과 피조세계등 복잡한 여러 관계 위에 세워진다.

놀랍게도 종교개혁에 뿌리를 둔 교회진영은 그 운동의 핵심 교리인 믿음으로 말미암는 은혜의 칭의를 잃어버렸다. 우리는 믿음의 자세보다 믿음의 시각을 더 키웠다.
믿음에 대한 이론은 있으나 실천은 없는 것이다.

믿음은 기본적으로 하나님과 이웃, 세상 그리고 자연과 맺는 일련의 신뢰 관계들이다.
믿음은 관계의 확신 속에서 산다는 뜻이었다.

기쁜 소식(복음이란)
우리가 하나님의 삶에 편입된다는 것이다.
우리를 그리스도와 함께 살리신 것은 새 생명 가운데 행하게 하고
새로운 차원의 관계로 끌어올리시기 위함이다.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안에 계시사 세상을 자기와 화목하게 하시는 것이다.
이것은 최상의 관계요 하나님이 정의하시는 관계이다.


육신을 입은 믿음
하나님은 왜 우리를 창조하셨나? 답은 하나뿐이다. 관계를 위해서다.
하나님은 온자 사시지 않고 그 삶을 우리와 나누기로 하셨다.

궁극적 실체는 오직 관계 속에서만 경험할 수 있다.
여기에서 히브리인의 언약 개념이 나오고 예수님의 구원 개념이 나왔다.

하나님은 우리를 사랑하셔서 독생자 예수님을 통하여 우리와 관계 맺기를 원하신다.
이것이 단순하면서도 복잡한 기독교 신앙의 정수다.

기독교의 기초는 관계
객체에 기초한 교회와 관계에 기초한 교회의 차이는,
교회를 사는 교회와 사람들을 그리스도와 및 피차간의 살아 있는 평생 관계로 이끌어 주는 교회의 차이다. 관계에 기초한 교회는 신조를 제시히고 신봉자들을 모집하는 곳이라기보다, 사람들이 하나님과 미치 피차간에 소통할 수 있고 신앙 여정에 격려와 힘을 얻을 수 있는 곳이다.

사회적 영양실조
문화가 우리를 관계에서 몰아낼수록 인간의 마음은 관계를 더 찾아나선다.
관계의 역학은 오늘 우리는 무엇을 하고 있나? 에서 오늘 우리는 어떻게 하고 있나?로 넘어간다.

믿음이란
학습해야 할 신념을 넘어 살아내야 할 결속이다.
세상이 우리를 판단하는 기준은 우리가 얼마나 옳게 믿었느냐가 아니라
그대로 얼마나 살고 있느냐이다.

"나는 믿음으로 사는가?
매일 매일 믿음으로 살고 있는가?"
주여 나의 믿음 없음을 꾸짖지 마소서, 믿음을 더하여 주소서.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