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야웨의 발음과 관련해서

내가 쓴 글들

by 거룩한나그네 2011. 2. 9. 22:35

본문

 היה를 개역성경에서는 여호와라고 표기한다.공동번역에서는 야훼라고 표기한다.

이런 표기의 차이는 어디에 근거한 것일까 ? 

하나님의 이름인היהו는 일반적으로 적절한 히브리 모음과 함께 표기되지 않았다. 이것은 포로기 이후부터는 이 단어에 대한 발음을 금지했다.하나님의 이름의 거룩함과 하나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컫는 율법을 법할까 하여서 였다.그래서 유대인들은 회당에서 성경을 읽다 이 단어가 나오면 아도나이(주라는 뜻)라는 말로 대치하였다.이 단어를 여호와로 발음하고 표기하는 것은 여기서 유래했다.소위 맛소라학파라는 유대인 학자들이 그때까지 자음으로만 있던 히브리 성경에 모음을 붙이기 시작했는데 하나님의 이름에는 그 발음을 기억하여 붙인 것이 아니라,아도나이에서 모음만을 따서 네 개의 자음에 붙였다. 이것을 후에 여호와라고 읽게 되었다.야훼라고 발음하는 것에도 상당한 근거들이 있다.우선 출3;14절에 היהו의 어원을 암시하는 단어가 나오는 데 이 단어의 모음을 근거로 읽으면 야훼가 된다.또 주후 3세기초의 교부들이 하나님의 이름을 야훼와 비슷한 발음으로 기록한 것들이나타난다. 그리고 구약에 등장하는 사람들의 이름속에 쓰여진 흔적들도 이 발음을 지지한다.그래서 많은 학자들은 היהו의 발음이 야훼라고 말한다.그러나 어떤 학자는 이 야훼라고 발음하며 이 형태에는 전기와 후기 히브리어의 형태가 공존함으로이상하다고 말하기도 한다.

이 단어의 의미를 추적하기 위해서 많은 가설들이 세워졌다.출애굽기 3;14절을 중심으로 이런 가설은 היהו의 원형이 היה동사와 관련이 있느냐 없느냐. 관련이 있다면 어떤 형태의 동사와 관련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대표적인 가설로는 1) 아랍어 가설,2) 원형을היה의 히필 미완료에서 유래 했다고 보는 가설 3) 미래 시제로 보는 가설 4) 원형을היה의 칼 미완료형 3인칭 남성 단수에서 유래 했다고 보는 가설등이 있다. 어느 학자의 표현을 빌리면 ‘이런 식의 해석은 고금을 막론하고 끝이 없을 정도이다’그러면 어떻게 하나님의 이름의 의미를 알 수 있을까 ? WBC주석의 출애굽기 주석을 쓴 John Durham은 ‘13-15절의 전후문맥 뿐만 아니라 출애굽기 3장 나머지 부분과 실로 3;16-22절에서 예상 할 수 있는 출애굽기 전체적인 이야기의 나머지 문맥도 염두에 두고 읽어야 한다’고 말한다.그리고나서 여호와라는 이름의 의미는 “역사하심 혹은 임재의 관점에서 정의 내려진 이름”이라고 말한다. 하나님 이름인 여호와의 의미는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지를 보여준다. 여호와라는 이름은 ‘스스로 있는 자’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전에도 계셨고, 지금도 계시며 영원이 계시는 분, 그분이 여호와이다. 과거에 이스라엘의 조상들에게 역사하셨던 분, 지금도 우리에게 역사하시는 분, 영원히 역사하시는 분 그분이 여호와이시다. 모세와 이스라엘은 출애굽의 사건을 통해서 이 하나님을 경험하였다. 그리고 여호와라는 이름속에서 그 놀라운 구원사건을 기억했고, 다시 경험했다.10가지 재앙을 통해 이스라엘 백성들은 스스로 존재하는 분, 여호와의 진가를 발견하였다. 하나님이 여호와이심을 경험한 것이다. 우리도 예수님을 통해 여호와를 알고 경험했다. 그리고 우리의 생을 통해 여호와를 알게 된다. 

참고. 장영일.야웨이름의 기원과 의미.장신논단

    존 던함. 출애굽기 주석(wbc).임마누엘

관련글 더보기